[월별 통계]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3.4월 기준)
2023.05.22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3.4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111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15.4%↑) * 건설기성액 : '23.3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0925천 명(전년 동기 대비 1.5%↓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467천 명(전년 동기 대비 4.4%↓, 전체의 70.1% 차지)ㅇ 건설기능인력 평균 연령 : 51.5세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2023년 건설근로자공제회 브로슈어
2023.05.12
2023년 건설근로자공제회 기관 브로슈어 입니다.
[월별 통계]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3.3월 기준)
2023.04.25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3.3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93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22.4%↑) * 건설기성액 : '23.2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095천 명(전년 동기 대비 0.9%↓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460천 명(전년 동기 대비 3.1%↓, 전체의 697% 차지)ㅇ 건설기능인력 평균 연령 : 51.3세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[월별 통계]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3.2월 기준)
2023.03.17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3.2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85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0.9%↑) * 건설기성액 : '23.1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041천 명(전년 동기 대비 0.2%↓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429천 명(전년 동기 대비 1.6%↓, 전체의 70.0% 차지)ㅇ 건설기능인력 평균 연령 : 51.4세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[분기별 통계] 피공제자 동향 분석 자료('22.12월 말 기준)
2023.03.17
* 본 보고서는 절대치 보다는 분포(특히 외국인 비중)을 유념하여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ㅇ 특성별 외국인 비중 - (성별) 남성 14.3%, 여성 12.2% - (연령별) 20대 이하(23.4%)>30대(23.2%)>40대(15.0%) - (직종별) 철근공(36.1%)>형틀목공(32.2%)>배관공(11.3%) - (지역별) 서울(28.0%)>경기(18.8%)>세종(14.7%)>인천(13.0%)첨부파일 다운로드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3.1월 기준)
2023.02.21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3.1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1265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3.1%↓) * 건설기성액 : '22.12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016천 명(전년 동기 대비 1.9%↓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402천 명(전년 동기 대비 4.9%↓, 전체의 69.5% 차지)ㅇ 건설기능인력 평균 연령 : 51.3세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12월 기준)
2023.01.25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12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10698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10.2% 증가) * 건설기성액 : '22.11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096천 명(전년 동기 대비 0.6% 증가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494천 명(전년 동기 대비 2.6% 증가, 전체의 71.3% 차지)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[연구보고서] 건설근로자 수급실태 및 훈련수요 조사
2023.01.02
본 연구는 건설근로자의 인력수급 실태를 파악하고, 그에 다른 직종별 훈련수요 규모를 도출하여 훈련계획 수립 등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추진됨총6장으로 구성- 1장 : 서론- 2장 : 분석 틀 및 모형 설정- 3장 : 건설근로자 수급 분석- 4장 : 건설근로자 훈련 수급 분석- 5장 : 건설근로자 훈련공급 규모 제온- 6장 :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
[연구보고서] 건설기능인력의 진입 촉진 및 장기근속 유도 방안
2023.01.02
본 연구는 건설기능인력의 만성적인 공급 부족 해결을 위해 안정적인 인력확보 방안을 도출함총8장으로 구성- 1장 : 서론- 2장 : 분석 틀 설정- 3장 : 현황 및 시사점- 4장 : 관련 사례 : 기능인력의 숙련 형성 및 활용- 5장 : 기능인력의 숙련 활용 및 우대 : 출발점- 6장 : 기능인력의 숙련 형성 체계 구축 : 인프라- 7장 : 건설현장의 작업환경 개선 : 여건 조성- 8장 :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
[연구보고서] 건설근로자 기능등급제의 시행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
2023.01.02
본 연구에서는 기능등급제 시행 이후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음총6장으로 구성됨- 1장 : 서론- 2장 : 분석 틀 설정- 3장 : 시행 현황 분석 및 시사점- 4장 : 기능등급제 시범사업 성과 평가 및 시사점- 5장 : 기능등급제의 효과적 정착방안 모색- 6장 :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
[연구보고서] 건설근로자 취업경로 파악 및 정책개선 방안 연구
2023.01.02
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, 행정자료 분석, 면담조사 등을 통해 건설업 취업경로를 파악하고 각 취업경로별 장단점 분석과 정책제언을 하였음<목차>- 1장 : 서론- 2장 : 선행연구- 3장 : 건설근로자 취업연계기관별 현황 및 성과- 4장 : 취업연계기관 담당자, 구인구직자 면담조사 결과- 5장 : 결론 및 정책 제언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11월 기준)
2022.12.15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11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98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8.3% 증가) * 건설기성액 : '22.10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151천 명(전년 동기 대비 0.5% 증가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550천 명(전체의 72.1%, 전년 동기 대비 1.2% 감소)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분기별 피공제자 동향 분석 자료 ('22.9월말 기준)
2022.12.14
* 본 보고서는 절대치 보다는 분포(특히 외국인 비중)을 유념하여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ㅇ 특성별 외국인 비중 - (성별) 남성 14.1%, 여성 12.0% - (연령별) 30대(23.7%)>20대 이하(22.9%)>40대(14.7%) - (직종별) 철근공(35.7%)>형틀목공(32.0%)>배관공(11.1%) - (지역별) 서울(27.9%)>경기(18.6%)>세종(17.4%)>인천(12.6%)
건설근로자 취업경로 파악 및 정책개선 방안 연구
2022.12.12
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, 행정자료 분석, 면담조사 등을 통해 건설업 취업경로를 파악하고, 각 취업경로별 장단범 분석과 정책제언을 함총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-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- 2장에서는 선행 연구에 대한 탐색- 3장에서는 행정자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건설근로자 취업연계기관별 현황과 성과- 4장에서는 취업연계기고나 담당자, 구인 및 구직자 면담조사 결과- 5장에서는 결론 및 정책 제언을 함.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10월 기준)
2022.11.23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10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93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3.8% 증가) * 건설기성액 : '22.9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139천 명(전년 동기 대비 0.6% 증가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547천 명(전체의 72.3%, 전년 동기 대비 0.6% 감소)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