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5월 기준)
2022.06.21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5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94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1.1% 감소) * 건설기성액 : '22.4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183천 명(전년 동기 대비 3.4% 증가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583천 명(전체의 72.5%, 전년 동기 대비 1.1% 감소)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분기별 피공제자 동향 분석 자료 ('22.3월말 기준)
2022.06.17
분기별 피공제자 동향 분석 자료('22.3월말 기준)* 본 보고서는 절대치 보다는 분표(특히 외국인 비중)을 유념하여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ㅇ 특성별 외국인 비중 - (성별) 남성 14.2%, 여성 12.3% - (연령별) 30대(25.0%)>20대 이하(21.0%)>40대(14.9%) - (직종별) 철근공(34.9%)>형틀목공(31.2%)>배관공(11.2%) - (지역별) 서울(27.9%)>경기(18.9%)>세종(17.2%)>인천(12.6%)
2021년 건설근로자 고용복지 사업연보
2022.06.10
2021년 건설근로자 고용복지 사업연보를 붙임과 같이 게시합니다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4월 기준)
2022.05.20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4월 기준)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4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94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7.3% 감소) * 건설기성액 : '22.3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123천 명(전년 동기 대비 2.3% 증가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535천 명(전체의 72.3%, 전년 동기 대비 1.0% 증가)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2월 기준)
2022.05.12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2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85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6.8% 증가) * 건설기성액 : '22.1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044천 명(전년 동기 대비 3.3% 증가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453천 명(전체의 71.1%, 전년 동기 대비 1.9% 증가)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1월 기준)
2022.05.12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1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128천억 원(전년 동기 대비 1.5% 증가) * 건설기성액 : '21.12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055천 명(전년 동기 대비 5.1% 증가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475천 명(전체의 71.3%, 전년 동기 대비 4.3% 증가)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3월 기준)
2022.04.21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3월 기준)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2.3월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76천 억원(전년 동기 대비 4.7% 감소) * 건설기성액 : '22.2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115천 명(전년 동기 대비 3.1% 증가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507천 명(전체의 71.3%, 전년 동기 대비 0.7% 증가)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2022년 건설근로자공제회 브로슈어
2022.04.05
2022년 건설근로자공제회 기관 브로슈어 입니다
분기별 퇴직공제 피공제자 동향 분석(21년 4분기 기준)
2022.03.17
분기별 퇴직공제 피공제자 동향 분석('21년 4분기 기준) 자료입니다.
[이슈페이퍼] 2021년 건설기성액과 건설기능인력간 비동조화 현상과 원인
2022.03.07
" 2021년 건설기성액과 건설기능인력간 비동조화 현상과 원인"을 붙임과 같이 게시합니다.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1.12월 및 연간 기준)
2022.01.17
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('21.12월 및 연간 기준) 게시합니다.ㅇ 건설기성액 : 96천 억원(전년 돟ㅇ기 대비 5.6% 감소) * 건설기성액 : '21.11월 기준ㅇ 건설업 취업자수 : 2,109천 명(전년 동기 대비 1.9% 증가)ㅇ 건설기능인력 취업자수 : 1,534천 명(전체의 72.7%, 전년 동기 대비 0.6% 증가) * 본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 및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됨
[연구보고서] 건설근로자 수급실태 및 훈련수요 조사 보고서
2022.01.12
본 연구는 건설근로자의 인력수급 실태를 파악하고, 그에 다른 직종별 훈련수요 규모를 도출하여 훈련계획 수립 등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추진됨총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-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- 2장에서는 분석체계와 수급 분석 모형에 대해 설명- 3장에서는 통계자료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근로자 수급 실태를 분석- 4장에서는 훈련 수급 분석 결과를 제시- 5장에서는 훈련공굽 규모를 제언- 6장에서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.
[연구보고서] 건설 분야 특성화고의 현장연계 교육훈련방안 모색
2022.01.10
건설 분야 특성화고의 현장연계 교육훈련방안 모색을 게시합니다.
[이슈페이퍼]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 효과 분석
2022.01.07
'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 효과 분석'을 게시합니다.
[연구보고서] 건설산업 차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방안 모색
2022.01.07
' 건설산업 차원의 교육훈련체계 구축방안 모색'을 게시합니다.